사진의 특성 - 한정식/중앙대학교 사진학과 교수 사진의 가장 커다란 특성은 현실성이다. 즉 현실을 바탕으로, 현실을 재현해내는 데서부터 출발하는 것이 사진이다. 그것이 예술이건 기록이건 다르지가 않다. 사진의 예술성은 기록성을 벗어난 곳에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그것도 소위 사진작가라는 사람들 중에도 제법 있는데, 이것은 사진에 대.. 學而時習之/사진 잘 찍어보기 2011.06.27
사진이란? - 한정식/중앙대학교 사진학과 교수 사진을 잘 찍으려면 우선 사진을 '말'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사진을 그림의 한 종류로 생각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것은 잘못일 뿐 아니라, 그림이라고 생각하면 일반인들은 잘 그리지 못하니까 접근하기도 어렵다. 그러나 말이라고 생각하면 사진을 못 찍을 사람은 없다. 잘 하든 못 하든, 말을.. 學而時習之/사진 잘 찍어보기 2011.06.27
카메라와 렌즈 - 한정식/중앙대학교 사진학과 교수 어떤 카메라가 좋은 카메라이고, 어떤 렌즈가 좋은 렌즈인가? 제1회의 글을 읽은 분들은 이미 그 해답을 알고 있다. 답은 너무도 간단하다. ‘무슨 카메라든 관계없다’이것이 답이다. 다시 말해, 카메라가 무슨 카메라든, 있기만 하면 된다는 뜻이다. 어떤 카메라라야 하고, 어떤 카메라가 좋고가 없다.. 學而時習之/사진 잘 찍어보기 2011.06.27
촬영과 노출 - 한정식/중앙대학교 사진학과 교수 촬영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무엇을 찍을 것인가를 먼저 정하는 것이다. 사실은 초보자와 아마추어 작가들의 가장 큰 고민도 이것이다. 무엇을 찍어야 할지 모르겠다는 것이다. 정처 없이 길거리를 헤매기도 하고, 소풍을 겸해 산이나 들로 나가 눈에 띄는 풀이나 꽃에 렌즈를 대어 보지만 잘 찍히지 않.. 學而時習之/사진 잘 찍어보기 2011.06.27
사진의 감상 - 한정식/중앙대학교 사진학과 교수 사진을 그냥 보라면 잘 보던 사람들도 사진 작품을 감상하라면 엉뚱한 데로 빠지는 것을 가끔 본다. 작품이라니까, 예술이라니까 지레 겁을 집어먹는 모양이다. 가장 엉뚱한 것이 사진을 들여다보고 기껏 구도나 왈가왈부하는 일일 것이다. '예술 작품'이라니까 무언가 아름다운 어떤 것이 들어 있을 .. 學而時習之/사진 잘 찍어보기 2011.06.27
효과적인 풍경사진을 위한 조건 사진은 평면예술로서 3차원의 시각 현상을 카메라라는 매체를 통해 2차원의 평면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따라서 풍경사진 또한 예외일 수 없다. 즉 풍경사진은 자연의 풍광이나 도시의 영상을 사진가의 시각을 통해 2차원의 평면에 표현하는 것이다. 좋은 풍경사진은 여러 가지 요소들이 하나의 화면에.. 學而時習之/사진 잘 찍어보기 2011.05.09